중랑구 갑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랑구 갑은 1988년 동대문구에서 중랑구가 분리되면서 신설된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이다.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평화민주당 이상수 후보가 당선된 이후, 민주자유당 이순재, 새정치국민회의/새천년민주당 이상수, 열린우리당 이화영, 한나라당 유정현 후보를 거쳐 2012년 제19대 국회의원 선거부터 더불어민주당 서영교 후보가 4선에 성공했다. 관할 구역은 선거에 따라 변경되었으며, 면목본동, 면목2동, 면목3·8동, 면목4동, 면목5동, 면목7동, 상봉2동, 망우3동을 포함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중랑구의 정치 - 중랑구 을
중랑구 을은 1988년 신설된 서울특별시 중랑구 동부 지역 중심의 국회의원 선거구로, 선거구 획정으로 관할 지역이 변경될 예정이며 여야 후보 간 치열한 경쟁을 보이는 곳이다. - 서울 중랑구의 정치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중랑구의회
2018년 6월 13일에 실시된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중랑구의회는 7개 지역구에서 의원을 선출하고 더불어민주당과 자유한국당이 비례대표 의석을 각각 1석씩 차지하여, 더불어민주당이 총 9석, 자유한국당이 총 8석을 확보하였다. - 서울특별시의 선거구 - 동작구 을
동작구 을은 1988년 동작구 갑에서 분리 신설된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선거구로, 서울특별시 동작구 일부 지역을 관할하며 박실, 유용태, 나경원, 이수진 등 역대 국회의원을 배출했고 2024년 총선에서는 나경원 후보가 당선되었다. - 서울특별시의 선거구 - 종로구 (1988년 선거구)
1988년 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종로구는 소선거구제 시행으로 단독 선거구로 치러졌으며, 민주정의당 이종찬 후보가 당선되었다. - 1988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중구 (1988년 서울 선거구)
중구 (1988년 서울 선거구)는 1988년 제13대 총선을 앞두고 종로구·중구 선거구에서 분리되어 신설된 서울특별시 중구 지역의 국회의원 선거구였으나, 2016년 인구 감소로 성동구 갑·을 선거구와 통합되어 중구·성동구 을 선거구로 개편되었다. - 1988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동작구 을
동작구 을은 1988년 동작구 갑에서 분리 신설된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선거구로, 서울특별시 동작구 일부 지역을 관할하며 박실, 유용태, 나경원, 이수진 등 역대 국회의원을 배출했고 2024년 총선에서는 나경원 후보가 당선되었다.
중랑구 갑 - [선거구 정보]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 | |
기본 정보 | |
선거구 유형 | 단독 선거구 |
선거구 링크 | 중랑구 갑 |
국회 | 국회 |
지역 | 서울특별시 |
관할 구역 | 중랑구 (일부) |
유권자 | 160,283 (2016년) |
개설년도 | 1988년 |
이전 선거구 | 동대문구 |
당선자 정보 | |
국회의원 | 서영교 |
정당 | 더불어민주당 |
지방 의회 정보 |
2. 역사
1988년 1월 1일 중랑구가 동대문구에서 분리 신설되면서, 중랑구 면목동 일대를 관할하는 '중랑구 갑' 선거구가 신설되었다. 2000년 대한민국 제16대 국회의원 선거부터 상봉2동과 망우3동이 중랑구 갑 선거구에 편입되었다.
3. 관할 구역
대수 관할 구역 13대 ~ 14대 중랑구 면목1동, 면목2동, 면목3동, 면목4동, 면목5동, 면목6동, 면목7동 15대 중랑구 면목1동, 면목2동, 면목3동, 면목4동, 면목5동, 면목6동, 면목7동, 면목8동 16대 ~ 17대 중랑구 면목1동, 면목2동, 면목3동, 면목4동, 면목5동, 면목6동, 면목7동, 면목8동, 상봉2동, 망우3동 18대 ~ 현재 중랑구 면목본동, 면목2동, 면목3·8동, 면목4동, 면목5동, 면목7동, 상봉2동, 망우3동
4. 역대 국회의원
선거 정당 의원 비고 1988년 평화민주당 이상수 1992년 민주자유당 이순재 배우 1996년 새정치국민회의 이상수 노동부 장관 (2006년–2008년) 2000년 새천년민주당 2004년 열린우리당 이화영 2008년 한나라당 유정현 2012년 민주통합당 서영교 2016년 더불어민주당 2020년 더불어민주당 2024년 더불어민주당
4. 1. 제13대 (1988년) ~ 제16대 (2000년)
4. 2. 제17대 (2004년) ~ 제18대 (2008년)
2004년 총선에서 열린우리당 이화영 후보가, 2008년 총선에서는 한나라당 유정현 후보가 각각 당선되었다.4. 3. 제19대 (2012년) ~ 현재
2012년 민주통합당 서영교 후보가 당선된 이후, 2016년, 2020년, 2024년까지 내리 4선에 성공하여 현재까지 더불어민주당 소속으로 중랑구 갑 국회의원을 역임하고 있다.5. 역대 선거 결과
선거명 | 당선자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 이상수 | 평화민주당 | 27,242 | 32.30 |
대한민국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 이순재 | 민주자유당 | 46,297 | 48.71 |
대한민국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 이상수 | 새정치국민회의 | 37,625 | 47.73 |
대한민국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 이상수 | 새천년민주당 | 39,749 | 49.52 |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 이화영 | 열린우리당 | 39,110 | 44.19 |
대한민국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 유정현 | 한나라당 | 27,419 | 40.51 |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 서영교 | 민주통합당 | 33,891 | 40.91 |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 서영교 | 더불어민주당 | 45,838 | 54.15 |
대한민국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 서영교 | 더불어민주당 | 55,185 | 57.76 |
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 서영교 | 더불어민주당 | 60,881 | 61.92 |
5. 1. 제13대 (1988년)
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평화민주당 이상수 후보가 32.30%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민주정의당 이순재 후보는 31.40%를 득표하여 2위를 기록하였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이상수 | 평화민주당 | 27,242 | 32.30% |
이순재 | 민주정의당 | 26,483 | 31.40% |
류택형 | 통일민주당 | 17,052 | 20.22% |
박훈 | 신민주공화당 | 9,984 | 11.84% |
황익수 | 무소속 | 3,560 | 4.22% |
합계 | 84,321 | 100.00% |
5. 2. 제14대 (1992년)
대한민국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자유당 이순재 후보가 48.71%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민주당1991 이상수 후보는 44.75%를 득표하여 2위를 기록하였다.
5. 3. 제15대 (1996년)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이상수 | 새정치국민회의 | 37,625 | 47.73 |
김철기 | 신한국당 | 21,796 | 27.65 |
신인휴 | 자유민주연합 | 6,792 | 8.61 |
신형식 | 통합민주당1995 | 6,120 | 7.76 |
최상혁 | 무소속 | 5,314 | 6.74 |
강경환 | 무소속 | 1,175 | 1.49 |
합계 | 78,822 | 100 |
5. 4. 제16대 (2000년)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이상수 | 새천년민주당 | 39,749 | 49.52% |
김철기 | 한나라당 | 32,410 | 40.37% |
조상남 | 자유민주연합 | 3,999 | 4.98% |
강경환 | 무소속 | 2,266 | 2.82% |
장영기 | 청년진보당 | 1,843 | 2.29% |
합계 | 80,267 | 100% |
5. 5. 제17대 (2004년)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특별시 중랑구 갑 선거구에서는 열린우리당 이화영 후보가 44.19%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한나라당 곽영훈 후보는 38.17%, 새천년민주당 김봉섭 후보는 7.67%를 득표하였다.정당 |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
열린우리당 | 이화영 | 39,110 | 44.19 |
한나라당 | 곽영훈 | 33,780 | 38.17 |
새천년민주당 | 김봉섭 | 6,792 | 7.67 |
민주노동당 | 김혜련 | 4,323 | 4.88 |
자유민주연합 | 정진택 | 2,865 | 3.23 |
무소속 | 강경환 | 1,193 | 1.34 |
무소속 | 임승웅 | 322 | 0.36 |
무소속 | 이호준 | 113 | 0.12 |
5. 6. 제18대 (2008년)
대한민국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특별시 중랑구 갑 선거구에서는 한나라당 유정현 후보가 40.51%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무소속 이상수 후보는 31.17%를 득표하여 2위를 기록했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유정현 | 한나라당 | 27,419 | 40.51 |
이상수 | 무소속 | 21,101 | 31.17 |
임성락 | 통합민주당2008 | 9,033 | 13.34 |
김철기 | 친박연대 | 7,899 | 11.67 |
강경환 | 무소속 | 1,853 | 2.73 |
김종묵 | 평화통일가정당 | 375 | 0.55 |
합계 | 67,680 | 100.00 |
5. 7. 제19대 (2012년)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서영교 | 민주통합당 | 33,891 | 40.91 |
김정 | 새누리당 | 19,647 | 23.71 |
유정현 | 무소속 | 18,989 | 22.92 |
이상수 | 무소속 | 8,115 | 9.79 |
강경환 | 무소속 | 2,193 | 2.64 |
합계 | 82,835 | 100 |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통합당 서영교 후보가 40.91%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5. 8. 제20대 (2016년)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 서영교 후보가 54.15%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새누리당 김진수 후보는 31.45%, 국민의당 민병록 후보는 13.50%를 득표했다.[1][2]
5. 9. 제21대 (2020년)
대한민국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의 서울특별시 중랑구 갑 선거구에서는 더불어민주당 서영교 후보가 57.76%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미래통합당 김삼화 후보는 36.28%를 득표하여 2위를 기록했다.정당 |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비고 |
---|---|---|---|---|
더불어민주당 | 서영교 | 55,185 | 57.76 | 당선 |
미래통합당 | 김삼화 | 34,670 | 36.28 | |
정의당 | 김지수 | 2,706 | 2.83 | |
무소속 | 이성복 | 1,109 | 1.16 | |
민생당 | 이기현 | 754 | 0.78 | |
민중당 | 성치화 | 624 | 0.65 | |
국가혁명배당금당 | 박명수 | 492 | 0.51 | |
계 | 95,540 | 100 |
5. 10. 제22대 (2024년)
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서울특별시 중랑구 갑 선거구에 출마한 더불어민주당 서영교 후보가 60,881표(61.92%)를 얻어 당선되었다. 국민의힘 김삼화 후보는 37,429표(38.07%)를 얻었다.
참조
[1]
웹사이트
<후보 득표현황> 서울(14일 1시30분 현재)
https://www.yna.co.k[...]
Yonhap
2016-04-14
[2]
웹사이트
[4·13총선] 서울 당선자 명단
http://www.weeklytod[...]
Weekly Today
2016-04-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